[On-Premise] NAT (사설 IP = 외부 IP 연결)

2024. 11. 17. 10:59·Network/Network[On-Premise]

 이번 On-premise 실습은 네트워크의 NAT 및 라우팅 설정을 통해 PC에 외부 네트워크 (Naver or Google)에 접속을 확인해보려고 한다. 

1. R1 - 내부 네트워크 라우터 설정

R1(config)#interface f0/0
R1(config-if)#ip address 172.16.100.1 255.255.255.0
R1(config-if)#ip nat inside
R1(config)#interface f0/1
R1(config-if)#ip address 172.16.10.1 255.255.255.0
R1(config-if)#ip nat outside

 

2.  NAT 오버로드 설정

R1(config)#ip nat inside source list 1 interface f0/1 overload
R1(config)#access-list 1 permit 172.16.0.0 0.0.255.255

 

NAT를 통해 내부 네트워크의 모든 PC가 외부로 접속 가능하도록 설정하였다. ACL은 내부 네트어크의 모든 서브넷 172.16.0.0 모두 허용하게 된다.

 

3. OSPF 설정 // 디폴트 라우팅으로 설정해줘도 됨

R1(config)#router ospf 2
R1(config-router)#network 172.16.100.0 0.0.0.255 area 0
R1(config-router)#netowkr 172.16.10.0 0.0.0.255 area 0

1. R2 - 외부와 연결된 라우터 설정

R2(config)#interface f0/0
R2(config-if)#ip address 172.16.10.2 255.255.255.0
R2(config-if)#ip nat inside
R2(config)#interface s0/0
R2(config-if)#ip address 10.100.102.1 255.255.255.0
R2(config-if)#ip nat outside

 

2. NAT 설정

R2(config)#ip nat inside source static 172.16.10.0 10.100.102.234

 

각 조별로 NAT 외부 주소를 설정해줬고, 내가 소속변 조는 4조이기 때문에 10.100.102.234/24를 외부 주소로 사용하였다. 

 

3. 라우팅 설정

R2(config)#ip route 0.0.0.0 0.0.0.0 10.100.102.1

 

 

 

# 네트워크 설정 과정 설명

 

R1

다음으로 ISP가 모든 트래픽을 외부 네트워크로 전달할 수 있도록 기본 경로를 설정해줬다. 이렇게 외부 라우터에서 디폴트 라우팅을 설정해주면 R1은 ospf를 통해 내부 네트워크 172.16.100.0/24, 172.16.10.0/24 와 연결된 서브넷들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알고 있으니까 R1에서 외부 네트워크로 나가는 트래픽(10.100.102.0/24, google/naver.com)이 기본적으로 R2로 전달이 된다. 

 

R2

R2에서는 디폴트 라우팅을 설정해줬는데, R2에서 도달하지 못하는 네트워크의 패킷을 디폴트 라우트에 설정된 네트워크로 전달이 된다. 그러면 모든 네트워크(0.0.0.0/0)은 ISP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 10.100.102.1로 전달된다. 


# 결과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Network > Network[On-Premi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On-premise] Static Routing / Router Telnet 설정  (0) 2024.11.17
[On-premise] Static Routing 설정  (3) 2024.11.17
[On-premise] VTP 실습  (0) 2024.11.15
[On-premise] L3 스위치 / VLAN, Trunk, NAT  (0) 2024.11.14
[On-premise] RIP(v2), EIGRP(서브넷팅, 키체인, 디폴트 라우팅, 축약, SSH 등)  (0) 2024.10.05
'Network/Network[On-Premi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On-premise] Static Routing / Router Telnet 설정
  • [On-premise] Static Routing 설정
  • [On-premise] VTP 실습
  • [On-premise] L3 스위치 / VLAN, Trunk, NAT
Kouji
Kouji
Journey to Becoming a Data & Server Engineer
  • Kouji
    Kouji's Data & Server Journey
    Kouji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 Programming
        • Python
        • SQL
      • Data & AI
        • Data Analysis
        • Ai
      • Cloud(AWS)
      • OS
        • Linux
        • Docker
        • Jenkins
        • Ubuntu
        • Window
        • Kubernates
        • Ansible
      • Network
        • NVIDIA
        • Network[이론]
        • Network[GNS3, Packet]
        • Network[On-Premise]
        • Network [L2, L3]
      • 트러블 슈팅
      • Life
        • My Career Stories
        • Personal
      • 개발 + OS 지식 함양
  • 블로그 메뉴

    • 홈
    • 관리 페이지
    • 글쓰기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시스템엔지니어
    L3
    티스토리챌린지
    네트워크엔지니어링
    화이팅
    네트워크관리사
    오블완
    AWS
    docker
    네트워크엔지니어
    서버
    웹
    dns
    서버엔지니어
    VMware
    CISCO
    ubuntu
    OS
    리눅스
    네트워크
    라우팅
    인프라
    보안
    스위치
    알고리즘
    Linux
    클라우드엔지니어
    도커
    IT
    인프라엔지니어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Kouji
[On-Premise] NAT (사설 IP = 외부 IP 연결)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