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복습) 리눅스 디렉터리 구조
·
OS/Linux
디렉터리 구조 1. / : 최상위 디렉터리.2. bin : 기본적인 명령어가 저장된 디렉터리(시스템)3. boot : 부트로더가 존재하는 디렉터리4. dev : 장치들의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터리5. etc : 거의 모든 설정파일이 들어있는 디렉터리6. home : 일반 사용자의 기본 홈 디렉터리7. root : root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8. lib : 커널이 필요로하는 커널 모듈 파일과 프로그램에 필요한 각종 라이브러리 파일들이 존재함.9. media : CD-ROM , USB 같은 이동형 저장장치의 기본 마운트 포인트로 사용되는 디렉터리.10. sbin - 시스템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유틸리티- root만을 위한 명령어들은 /sbin , /usr/sbin, /usr/local/sbin에 저장- /b..
[Ansible] Ansible 플레이북 설정
·
OS/Ansible
플레이북플레이북을 작성하고 실행하기위해서는 여러가지 설정을 미리 해줘야한다. 예를 들면 어떤 호스트에서 플레이북을 실행할 것인지, 플레이북을 루트 권한으로 실행할 것인지, 대상 호스트에 접글할 때 SSH 키를 이용할 것인지 패스워드를 이용할 것인지 등을 설정해줘야한다. 플레이북은 YAML 포맷으로 작성된 텍스트 파일이며, 일반적으로 .yml이라는 확장자를 사용하여 저장한다. 플레이북은 대상 호스트나 호스트 집합에 수행할 작업을 정의해주고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1. 디렉토리 생성 플레이북 & 플레이북 실행user@Controller:~/my-ansible$ vim mkdir.ymluser@Controller:~/my-ansible$ ansible-playbook mkdir.yml2. 사용자 추가 플레이북 ..
[Ansible] Ansible 인벤토리 기본 설정
·
OS/Ansible
인벤토리먼저 자동화를 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어떤 시스템의 호스트를 자동화 할 것인지 대상 호스트를 선정하는 것이다. 이 대상 호스트 선정이 되면 인벤토리를 통해 대상 호스트를 설정해준다. 이를 위해서 인벤토리가 필요하고, 인벤토리를 이용해서 자동화 대상 호스트를 설정해볼 것이다.  인벤토리 파일은 텍스트 파일이고, 앤서블이 자동화 대산으로 하는 관리 호스트를 지정해주는 역할을 한다.1. 작업 디렉토리 생성먼저 my-ansible이라는 디렉터리를 하나 생성해준다.user@Controller:~$ mkdir my-ansibleuser@Controller:~$ cd my-ansible/2. IP를 이용한 인벤토리 파일 생성 user@Controller:~/my-ansible$ vim invent..
[Ansible] Ansible 설치
·
OS/Ansible
어제 포스팅을 이어서 진행을 해볼 것이다. 어제는 데비안을 초기 설치를 진행했었다.1. Controller IP 할당 이렇게 설정을 해주고 한 뒤, 나중에 SSH 접속을 해줄 것이다. 그 전에 먼저 가상 서버를 생성하고 사전에 내려 받아 놓은 운영체제 이미지를 이용해서 서버를 설치해준다. Controller를 복제해서 node1, node2를 만들어준다.2. Node1 & Node2 생성해주기# Node1IP :  192.168.100.11GATEWAY : 192.168.100.2NETMASK : 255.255.255.0# Node2IP :  192.168.100.12GATEWAY : 192.168.100.2NETMASK : 255.255.255.03. 호스트 파일 편집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실행하여 호스..
[Ansible] Ansible 이용 전 기본 셋팅
·
OS/Ansible
1. Debian 다운로드데비안 ISO 버전 : debian-12.9.0-amd64-netinst.iso버추얼 박스가상 머신 이름 : ControllerISO 이미지 : debian-12.9.0-amd64-netinst.iso종류 : Linux기본메모리 : 4096MBCPU : 2개설정 > 네트워크어댑터 1 : NAT어댑터 2 : 호스트 전용 어댑터 (추가적으로 어댑터 하나를 생성)주소 : 192.168.100.2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02. Debian 실행 설정1. Graphical install 선택 & 엔터2. 언어 선택 : English (기호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3. 위치 선택 : 대한민국4. 키보드 설정 : English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enp0s3 선택 6. ..
[Linux] 테스트 해보기
·
OS/Linux
요구사항[ Server 설정]1. 서버 종료 후 1G 새로운 DISK 추가 후 부팅 2. 새 DISK(1G)를 fdisk 라는 명령어로 파티션 쪼개세요 1P 200M 2P 500M 3Ex etc(남은용량 모두) 5L etc(남은용량 모두) 3. mkfs -t ext4 /dev/sdb2 명령어 적으셔서 포맷해 주세요 4. mkdir -p /ssh/sdb 명령어 적으셔서 MP 를 생성해 주세요 5. vi /etc/fstab 들어가셔서 자동 마운트까지 진행해 주세요- /dev/sdb2 /ssh/sdb ext4 defaults 1 2 6. cd /ssh/sdb 들어가셔서 7. mkdir scp sftp ssh && touch scp/chw sftp/user1 ssh/iu 디렉토리와 각각 하위에 있는 파일들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