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VIDIA] Leaf-Spine 토폴로지 및 라우팅 알고리즘
·
Network/NVIDIA
리프 (Leaf) 스위치- 외부 스위치는 외부 링크를 통해 호스트 / 엔드 노드에 연결된다. - 서버 또는 엔드 디바이스 (스토리지, 가상 머신 등)와 직접 연결해야 된다.- 스파인 스위치로만 연결 됨. (다른 리프 스위치와는 직접 연결되지 않음)- 일반적으로 TOR(Top-of-Rack) 스위치 역할 수행스파인 (Spine) 스위치- 모든 리프 스위치와 연결되어 패킷을 고속으로 전달하는 백본 역할-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으며, 오직 리프 스위치와만 연결된다.- 트래픽 병목을 방지하고 일관된 지연 시간을 제공Leaf - Spine 아키텍처- 리프계층과 스파인 계층으로 구성된 다층 토폴로지- 리프 스위치는 외부 링크를 통해 호스트 / 엔드 노드에 연결- 스파인 스위치는 내부 링크를 통해 리프 스위치를 상호..
[Network] 게이트웨이 이중화 - VRRP
·
Network/Network[이론]
네트워크 이중화 구성을 하는 이유1. 로드 밸런싱 : 똑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를 여러 개 구성해서 네트워크 부하를 분산시키고자 할 때 (가용성을 올릴 때)2. Failover : 하나의 장비가 죽을 때 다른 장비로 전환되어 서비스 단절을 최소화 하고자 할 때(진짜 목적) VRRP는 주로 Failover를 목적으로 Master/Slave 장비 간의 전환을 위해 사용한다. VRRP(Virtual Router Redundancy Protocol)게이트웨이 장애 복구를 위한 프로토콜이다. VRRP와 HSRP는 동작방식이 거의 유사하다. Tip은 동작방식이 비슷하기 때문에 비교하면서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것이 좋다. Master 와 Slave 장비는 하나의 VIP(virtual ip)로 묶여 있어서, 각각 RI..
[Network / SW] 게이트웨이 이중화 - HSRP Version
·
Network/Network [L2, L3]
HSRPv1 ( default)* 그룹 번호를 0에서 255까지 사용* Virtual MAC addrss 0000.0C07.ACXX (XX = HSRP group)* 헬로 패킷을 멀티캐스트 주소 224.0.0.2로 보낸다.HSRPv2 * 그룹번호를 0에서 4095까지 사용* Virtual MAC address 0000.0C9F.FXXX (XX = HSRP group)+* 헬로 패킷을 멀티캐스트 주소 224.0.0.102로 보낸다* HSRPv2와 HSRPv1은 패킷 형식이 다르다.* HSRP 그룹간에는 반드시 버전이 같아야 한다.* HSRP 버전 변경Switch(config-if)#standby 10 version 2 (장비를 지원해줘야 가능하다.)
[Network/ SW] L2/ L3 - 이용한 게이트웨이 이중화
·
Network/Network [L2, L3]
1. 라우터 생략STEP 2. L3 스위치 설정1. L3(SW1)ESW1(config)#ip routingESW1(config)#vlan 10ESW1(config-vlan)#vlan 20ESW1(config-vlan)#int f1/0ESW1(config-if)#no switchportESW1(config-if)#ip add 172.16.10.2 255.255.255.252ESW1(config-if)#exESW1(config)#int range f1/1 - 2ESW1(config-if-range)#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ESW1(config-if-range)#switchport mode trunkESW1(config-if-range)#ESW1(config-if-ra..
[On-Premise] 게이트웨이 이중화
·
Network/Network[On-Premise]
Router 1 설정 - NAT 설정 및 HSRP 설정R1(config)# int f0/0R1(config-if)# ip add 10.100.102.214 255.255.255.0R1(config-if)# ip nat outsideR1(config-if)# no shR1(config)# int f0/1R1(config-if)# ip add 192.168.100.100 255.255.255.0R1(config-if)# ip nat insideR1(config-if)# standby 10 ip 192.168.100.1R1(config-if)# standby 10 pri 200R1(config-if)# standby 10 preemptR1(config-if)# standby 10 track f0/0 101 N..
[Network] 게이트웨이 이중화
·
Network/Network[이론]
게이트웨이 이중화 호스트 & 서버들은 인터넷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로 패킷을 전송할 때, 게이트웨이를 이용해서 전송한다. 이 때 게이트웨이에 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외부 네트워크에 접근이 불가능하다.(인터넷이 안된다.) 따라서 2개 이상의 GW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는데, 게이트웨이를 2개 이상 사용하여 안정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하는 것을 게이트웨이 이중화라고 부른다. 게이트 웨이 이중화 목적- 장비의 원활한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해서 추가 장비 도임- 과부화 발생 시 일시적인 장애로 경로를 수정해야 될 경우를 대비 특히 홈쇼핑에서 많이 쓰인다.  FHRP : 복수개의 GW로 구성하고 이중에 하나에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하나가 GW 역할을 이어서 수행하는 프로토콜HSRP, GLBP(시스코 전용) V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