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ff-Premise
실무에 들어가서 DNS 설정만 잘하면 욕은 안 먹는다고 들었다. 욕을 안 들어 먹기 위해. DNS 서버 설정이 익숙해질 정도로 연습 또 연습이다. 이번 실습은 이전 실습에서 HTTP 서버를 한 개를 만들었는데 2대의 HTTP 서버를 만들어야 한다. 그럼 DNS 서버에 두 개의 서버를 설정해줘야 한다. 오프프레미스 실습을 해보겠다. 그림을 보면 총 5개의 작업을 수행해주면 된다.
- 라우터 설정 (생략 : 저는 ospf 프로토콜로 라우팅 해줬다.)
- window 클라이언트 설정 (ip 설정)
- DNS 서버 설정
- HTTP 서버 설정 (211.175.185.1)
- HTTP 서버 설정 (126.255.255.1)
1. window 클라이언트 설정 - 파란색 박스
윈도우는 클라이언트 역할만 하기 때문에 IP 설정만 해주면 된다. 따로 설치하거나 그럴 필요없다.
2. DNS 설정
https://xoodongxoo.tistory.com/165
[Linux] DNS 설정
# DNS 서버 구성# DNS 서버 구성 절차1. 리눅스 패키기 설치 - yum -y install bind caching-nameserver- named -y : bind 버전 확인 2. DNS 서버 전역 설정- vi /etc/named.caching-nameserver.conf 3. 존 정보 설정- vi /etc/named.rfc
xoodongxoo.tistory.com
DNS를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 링크를 확인하면 된다. 다만 조심해야하는건 현재 이 오프프레미스 실습환경에서는 http 서버가 2개이기 때문에 dns 서버 설정을 맞게끔해주면 된다.
3. HTTP 서버 설정
이렇게 IP 주소를 설정해주고 HTTP를 설치해주면 된다.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하면 된다.
# yum -y install httpd
# service httpd restart
# 결과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uux] DNS 포워딩 (0) | 2024.12.03 |
---|---|
[Linux] 서브 도메인 운영 (0) | 2024.11.26 |
[Linux] DNS 설정 (0) | 2024.11.19 |
[Off-Pre | Linux] DHCP 마무리 (0) | 2024.11.19 |
[Linux] IP 할당 주소 영역이 n개 일 때 할당하는 방법 (1) | 2024.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