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벤토리
먼저 자동화를 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어떤 시스템의 호스트를 자동화 할 것인지 대상 호스트를 선정하는 것이다. 이 대상 호스트 선정이 되면 인벤토리를 통해 대상 호스트를 설정해준다. 이를 위해서 인벤토리가 필요하고, 인벤토리를 이용해서 자동화 대상 호스트를 설정해볼 것이다. 인벤토리 파일은 텍스트 파일이고, 앤서블이 자동화 대산으로 하는 관리 호스트를 지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1. 작업 디렉토리 생성
먼저 my-ansible이라는 디렉터리를 하나 생성해준다.
user@Controller:~$ mkdir my-ansible
user@Controller:~$ cd my-ansible/
2. IP를 이용한 인벤토리 파일 생성
user@Controller:~/my-ansible$ vim inventory
user@Controller:~/my-ansible$ ls -al
합계 24
drwxr-xr-x 2 user user 4096 2월 27일 14:59 .
drwx------ 16 user user 4096 2월 28일 11:39 ..
-rw-r--r-- 1 user user 213 2월 27일 14:51 ansible.cfg
-rw-r--r-- 1 user user 90 2월 27일 14:57 inventory
-rw-r--r-- 1 user user 194 2월 27일 14:56 mkdir.yml
-rw-r--r-- 1 user user 141 2월 27일 14:59 useradd.yml
3. IP를 이용한 인벤토리 그룹 구성
그룹 설정
- WEB 그룹 : 192.168.100.11
- DB 그룹 : 192.168.100.12
- ALL 그룹 : WEB, DB 설정
해당 디렉터리 내에 inventory라는 파일을 에디터로 열어 IP 기반의 대상 호스트 목록을 작성해주고, 작성한 인벤토리가 올바르게 설정되었는지 확인해준다.
user@Controller:~/my-ansible$ vim inventory
user@Controller:~/my-ansible$ ansible-inventory -i ./inventory --list
4. 인벤토리 경로와 SSH 연결 방식을 Asible 기본 설정으로 추가
user@Controller:~/my-ansible$ vim ansible.cfg
이렇게 인벤토리를 이용해서 대상 호스트를 정의를 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대상 호스트에서 수행될 작업들을 정의하기 위한 플레이북을 작성해볼 것이다.
'OS > Ansib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sible] Ansible 플레이북 설정 (0) | 2025.02.28 |
---|---|
[Ansible] Ansible 설치 (0) | 2025.02.28 |
[Ansible] Ansible 이용 전 기본 셋팅 (0) | 2025.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