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able of Contents
- Tech 1. OSPF 실습
# R1 인터페이스 설정
R1(config)#int f0/0
R1(config-if)#ip add 192.168.10.10 255.255.255.0
R1(config-if)#no sh
# R1 OSPF 설정
R1(config)#router ospf 1
R1(config-router)#router-id 1.1.1.1
R1(config-router)#network 192.168.10.0 0.0.0.255 area 0
# R2 인터페이스 설정
R2(config)#int f0/0
R2(config-if)#ip add 192.168.10.20 255.255.255.0
R2(config-if)#no sh
# R2 OSPF 설정
R2(config)#router ospf 3
R2(config-router)#router-id 2.2.2.2
R2(config-router)#network 192.168.10.0 0.0.0.255 area 0
# R3 인터페이스 설정
R3(config)#int f0/0
R3(config-if)#ip add 192.168.10.30 255.255.255.0
R3(config-if)#no sh
# R3 OSPF 설정
R3(config)#router ospf 3
R3(config-router)#router-id 3.3.3.3
R3(config-router)#network 192.168.10.0 0.0.0.255 area 0
# R4 인터페이스 설정
R4(config)#int f0/0
R4(config-if)#ip add 192.168.10.40 255.255.255.0
R4(config-if)#no sh
# R4 OSPF 설정
R4(config)#router ospf 4
R4(config-router)#router-id 4.4.4.4
R4(config-router)#network 192.168.10.0 0.0.0.255 area 3
#R1에서 네이버 테이블 확인
1#sh ip ospf nei
R1#sh ip ospf neighbor
Neighbor ID Pri State Dead Time Address Interface
2.2.2.2 1 2WAY/DROTHER 00:00:38 192.168.10.20 FastEthernet0/0
3.3.3.3 1 FULL/BDR 00:00:38 192.168.10.30 FastEthernet0/0
4.4.4.4 1 FULL/DR 00:00:37 192.168.10.40 FastEthernet0/0
R1#
*Mar 1 00:28:03.511: %OSPF-5-ADJCHG: Process 1, Nbr 4.4.4.4 on FastEthernet0/0 from FULL to DOWN, Neighbor Down: Dead timer expired
R1#
*Mar 1 00:28:07.423: %OSPF-5-ADJCHG: Process 1, Nbr 2.2.2.2 on FastEthernet0/0 from LOADING to FULL, Loading Done
R1에서 네이버 테이블을 확인하면서 Hello 패킷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볼 것이다. 헬로 주기는 다음과 같다. (기본값: 브로드캐스트, 포인투 투 포인트는 10초 / 논브로드캐스트, 포인투 투 멀티포인트는 30초)이다. 여기서 라우터 우선순위를 좀 알아보려 한다.
인터페이스 OSPF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라우터는 DR이고, 다음 순위는 BDR이다. OSPF 우선 순위 동일 시 라우터 ID가 높은 것이 DR이다. BDR은 DR이 다운되었을 때 DR 역할을 읻어받는다고 한다. 지금 네이버에서 DR로 되어 있는 4번 라우터를 끊어보겠다.
#R4 라우터 인터페이스 셧다운
R4(config)#int f0/0
R4(config-if)#sh
>> 라우터 R1에서 다시 네이버 테이블을 확인해볼 것이다. (아래)
>> 4번 라우터 shotdown 했을 때, 라우터 1번의 ospf 네임버 테이블의 변화
R1#sh ip ospf neighbor
Neighbor ID Pri State Dead Time Address Interface
2.2.2.2 1 FULL/BDR 00:00:39 192.168.10.20 FastEthernet0/0
3.3.3.3 1 FULL/DR 00:00:32 192.168.10.30 FastEthernet0/0
원래 DR의 역할을 해주었던 네이버 4번 라우터가 셧다운이 되고나니 3번 라우터가 DR 역할을 대신해줬다. 2번 라우터는 DR/BDR 선출에서 밀려 네이버를 맺지 못하고 two-way 였지만 현재는 BDR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two-way에서는 모든 네이버에게 DR/BDR 선출 기회를 부여하기 할 수 있다.)
>> 다시 라우터 4번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킨 후 네이버 테이블 확인
R1#sh ip ospf neighbor
Neighbor ID Pri State Dead Time Address Interface
2.2.2.2 1 FULL/BDR 00:00:34 192.168.10.20 FastEthernet0/0
3.3.3.3 1 FULL/DR 00:00:38 192.168.10.30 FastEthernet0/0
4.4.4.4 1 INIT/DROTHER 00:00:33 192.168.10.40 FastEthernet0/0
#Priority 값을 높여 DR과 BDR를 설정
OSPF에서는 priority 값을 정할 수 있는데 , OSPF의 서열을 정해주는 것이다. 라우터 ID가 높은 것이 DR이 된다.
R1(config)#int f0/0
R1(config-if)#ip ospf pri
R1(config-if)#ip ospf priority ?
<0-255> Priority
R1(config-if)#ip ospf priority 100
R1의 ospf의 라우터 ID를 100으로 높여주었다. 다른 라우터 ID 보다 더 높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R3에서 네이버 테이블 확인
R3#sh ip ospf nei
R3#sh ip ospf neighbor
Neighbor ID Pri State Dead Time Address Interface
1.1.1.1 100 FULL/DROTHER 00:00:37 192.168.10.10 FastEthernet0/0
2.2.2.2 1 FULL/BDR 00:00:34 192.168.10.20 FastEthernet0/0
4.4.4.4 0 FULL/DROTHER 00:00:32 192.168.10.40 FastEthernet0/0
여기서 원래는 100으로 지정해준 1번 라우터가 DR이 되어야한다. 이해가 안가서 챗 gpt를 찾아보니 clear ip ospf process 명령어로 ospf 프로세스를 재시작하면 DR/BDR 선출과정을 다시 확인 할 수 있다고 한다. 그 다음 이유는 이미 DR/BDR이 결정된 상태에서는 Priority 값을 변경해도 DR/BDR 선출 과정이 다시 진행되지 않는다고 한다.
R3#sh ip ospf nei
R3#sh ip ospf neighbor
Neighbor ID Pri State Dead Time Address Interface
1.1.1.1 100 FULL/DROTHER 00:00:37 192.168.10.10 FastEthernet0/0
2.2.2.2 1 FULL/BDR 00:00:34 192.168.10.20 FastEthernet0/0
4.4.4.4 0 FULL/DROTHER 00:00:32 192.168.10.40 FastEthernet0/0
R3(config)#int f0/0
R3(config-if)#sh
r4
R4#conf t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R4(config)#int f0/0
R4(config-if)#sh
R4(config-if)#no sh
R4(config-if)#ip ospf priority 0
R4#sh ip ospf neighbor
Neighbor ID Pri State Dead Time Address Interface
1.1.1.1 100 FULL/BDR 00:00:38 192.168.10.10 FastEthernet0/0
2.2.2.2 1 FULL/DR 00:00:34 192.168.10.20 FastEthernet0/0
'Network > Network[GNS3, Pack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cket] VLAN 실습 (0) | 2024.10.16 |
---|---|
[OSPF] Multi-Area(Loopback , EIGRP, 축약, 재분배, 디폴트) (0) | 2024.10.14 |
[OSPF] OSPF 실습 - 1 (0) | 2024.10.10 |
[EIGRP] - Default Routing (1) | 2024.09.28 |
[EIGRP]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1) | 2024.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