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able of Contents
- Tech 1. 웹 서버 구축
- Tech 2. 패키지 찾기
- Tech 3. 패키지 확인
- Tech 4. 패키지 설치
[root@web1 ~]#yum info apache
[root@web1 ~]#yum info httpd
[root@web1 ~]#yum info apache
[root@web1 ~]#yum info mariadb
이름을 똑같이 안해줘서 그렇다. 아마 다른 패키지들도 한번 확인해 봐야할 것 같다.
패키지 버전을 확인해줬으니, 패키지 설치를 진행한다.(한꺼번에 설치한다.)
[root@web1 ~]# yum install -y httpd php mariadb-server php-mysqlnd
설치가 완료된 걸 볼 수 있다. 여기서 Dependency Installed는 현 패키지에 의존성을 가지는 패키지기 자동으로 설치된 것을 볼 수 있다.
다음으로 패키지를 설정하고 확인을 해보겠다.
[root@web1 ~]#vim /etc/httpd/conf/httpd.conf
아직 이 부분에 대해서 잘모르겠다. 몇가지 영어를 해석해보면 웹 서버의 동작 방식을 정의한 것 같다. <Directory />를 보면 디렉토리 (/)에 대한 접근 제어를 설정하는 것 같고, DocumentRoot "/var/www/html" 설명을 보면 웹 서버가 요청을 받고 처리하는 기본 문서 루트 디렉토리인 것 같다. 내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요청하는 URL이 이 루트 디렉토리 파일을 기반으로 처리가 되는 것 같다.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VMware] IP, Gateway, DNS - Address 할당 (0) | 2024.10.22 |
---|---|
[Linux] 캐싱 DNS Server 구축 (0) | 2024.10.15 |
[Linux] 웹 서버 구축 - 방화벽(설정) (1) | 2024.10.15 |
[Linux] 웹 서버 구축 - 서비스(시작 및 확인) (0) | 2024.10.15 |
[Server] Virtual Box 설치 (0) | 2024.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