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Site-to-Site
·
Network/Network[이론]
라우터R1(config)#int f0/0R1(config-if)#ip add 192.168.10.1 255.255.255.0R1(config-if)#no sh*Mar 1 00:00:35.215: %LINK-3-UPDOWN: Interface FastEthernet0/0, changed state to up*Mar 1 00:00:36.215: %LINEPROTO-5-UPDOWN: Line protocol on Interface FastEthernet0/0, changed state to upR1(config-if)#exR1(config)#ip http serverR1(config)#username admin pri 15 password adminR1(config)#ip http authenticatio..
[AWS]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구축
·
Cloud(AWS)
설명이번 장에서는 AWS EC2 인스턴스에서 Node.js 환경을 설정해 볼 것이다.1. Git  & ASDF 설치 (Node.js 버전 관리 도구 설정)# Git 설치[ec2-user@ip-172-31-6-63 ~]$ sudo yum install git -y# ASDF 설치 (버전 관리 도구)ASDF 를 클론해서 ~/.asdf 디렉터리를 설치해준다.--branch v0.9.0 옵션을 사용해서 특정 버전( v0.9.0 ) 설치해주었다.[ec2-user@ip-172-31-6-63 ~]$ git clone https://github.com/asdf-vm/asdf.git ~/.asdf --branch v0.9.0# ASDF 환경 변수 설정 및 설정파일 확인asdf.sh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bashrc..
[Docker] Dockerfile 및 명령어
·
OS/Docker
DockerfileDockerfile은 docker에서 동작하는 컨테이너의 구성 정보를 프로비저닝(provisioning)한 텍스트 template 파일이다. 프로비저닝(provisioning)사용자의 요구의 맞게 시스템 자원을 할당, 배치, 배포해 두었다가 필요 시 시스템을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미리 준비해두는 것. Dockerfile은 컨테이너에 설치해야하는 패키지, 소스코드, 명령어, 환경 변수 설정 등을 기록한 하나의 파일이다. Docker 이미지는 컨테이너가 런타임 환경으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특정 기술 또는 서비스를 사전에 구축한 환경이다 . Dockerfile 은 애플리케이션 배포에 필요한 컨테이너 인프라를 코드 형태로 정의한 파일이다 . 이러한 개념을 IaCInfrastructu..
[Docker] Web container log 유지 및 실시간 확인 Volume 구성
·
OS/Docker
이번 포스팅에서는 Nginx 컨테이너의 접근 로그와 에러 로그를 호스트의 볼륨으로 마운트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컨테이너가 중지되어도 로그 기록을 유지하도록 구성해볼 것이다. 이를 통해 Nginx 로그에서 특정 시간대의 접근 기록을 확인하여 웹 서버의 접속 현황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즉,  Nginx 컨테이너의 접근 및 에러 로그 영역을 볼륨으로 구성하여 실시간 접근 기록 확인 및 장애 시 에러에 대한 정보를 컨테이너가 중지되어도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  1. Nginx 로그 디렉터리 생성ubuntu@docker:~$ mkdir nginx-log nginx-log 라는 디렉터리를 생성하여 Nginx의 로그 파일을 저장할 호스트 디렉터리를 준비해준다.  2. Nginx 컨테이너 실행 및 볼륨 마운트 설..
[Ubuntu] VM으로 Ubuntu 설치
·
OS/Ubuntu
1. UbuntuLinux 커널을 기반으로 하는 운영체제 시스템을 LInux 배포판이다. 우분투 시스템에는 많은 소프트웨어가 포함되어 있다.  1.1 Ubuntu 다운로드Ubuntu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최신 OS 또는 사양에 맞거나 많이 사용되는 버전을 선택하고 설치하면 된다. https://ubuntu.com/download/desktop https://ubuntu.com/download/desktop ubuntu.comStep 1. 이전에 설치했던 VM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새로 만들기 버튼을 눌러준다. 예시로 가상머신 이름은 ubuntu으로 설정해준다.종류는 Linux로 바꿔준다. 버전은 설치했던 Ubuntu 버전으로 설정해준다. Step 2.이제 가상머신 생성을 해준다. 다음으로 메모리 크기와 C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