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NS3] EIGRP, OSPF - Virtual Link
·
Network/Network[GNS3, Packet]
이번 실습에서는 EIGRP와 OSPF가 혼합되어진 네트워크 상에서 Virtual Link를 설정을 통해 프로토콜 연결을 해줄 것이다. 이전 포스팅과는 다르게 EIGRP를 같이 사용하기 때문에 난이도가 있어 보인다. 차근차근 하나씩 이해를 하며 실습을 진행하고자 한다. 네트워크 구조 분석 1. OSPF 100에서 여러 area로 나뉘어 있다. - Area 0 : R (1, 2)- Area 15: R(1, 5)- Area 23: R(2, 3, 5) 2. EIGRP 100이 R5, R6, R7, R8에서 동작하고 있다. 3. Area 0과 연결되지 않은 Area가 있다. - Area 23 : R3, R4는 Area 0과 직접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 Area 23의 네트워크가 다른 OSPF 영역이랑 네트워..
[OSPF] OSPF 실습 - 1
·
Network/Network[GNS3, Packet]
⭐️ Table of ContentsTech 1. OSPF 실습 Tech 1. OSPF 실습  #RIP 프로토콜 동작 확인R1#conf t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R1(config)#router ripR1(config-router)#do sh ip protocols>> 동작하지 않음 라우터 1번에서 RIP 프로토콜을 실행했지만 동작은 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EIGRP 프로토콜에서 동작을 하는지 한번 볼 것이다.  #EIGRP 프로토콜 동작 확인R1(config)#router eigrp 100R1(config-router)#do sh ip protocolsRouting Protocol is "eigrp 100" Outgo..
[Network] 와일드카드 마스크(Wildcard Mask)
·
Network/Network[이론]
⭐️ Table of ContentsTech 1. 와일드카드 마스크Tech 1. 와일드카드 마스크와일드카드 마스크는 서브넷 마스크와 관련 있다.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 중 어느 부분이 네트워크 주소인지, 어느 부분이 호스트 주소인지를 구분해 준다. (쉽계 ex: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0이라면, IP주소의 앞 24비트는 네트워크 부분이고, 마지막 8비트는 호스트 부분이다.) 라우팅 할 때 네트워크 범위를 지정하는 데 사용된다.  반면, 와일드카드 마스크는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는 대신, 어느 부분을 검사할지 여부를 결정해준다. 와일드카드 마스크에도 1은 해당 비트를 검사하지 않음을 의미하고, 0은 해당 비트를 검사한다는 말이다. 와일드카드 마스크 원리서브넷 마스크와 와일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