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스위치
·
Network/Network[이론]
# 스위치네트워크 스위치는 네트워크(근거리 통신망, LAN) 내에 장치를 연결하고 해당 장치와 데이터 패킷을 주고 받는다. 라우터와 달리 스위치는 여러 장치의 네트워크가 아닌 의도된 단일 장치(다른 스위치, 라우터, PC)로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 스위치 기능기본동작 : MAC 주소를 인식하고 패킷을 전달.VLAN 기능 :  한대의 장비에서 논리적으로 네트워크를 분리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TP) : 네트워크 루프를 방지(루핑)# 스위치 동작 방식1. 플러딩(Flooding)플러딩은 스위치에 연결된 모든 포트로 패킷을 전달하는 방식을 말한다. 스위치는 MAC 주소 테이블에 네트워크 관련 정보가 아무것도 없어서 허브처럼 동작을 하는데, 허브는 패킷이 들어온 포트를 제외하고 모든 포트로 패킷을 전달..
[Network / SW] L3 스위치 (Trunk, VLAN)
·
Network/Network [L2, L3]
# L3 스위치를 이용한 vlan 설정 #오른쪽 SW / 왼쪽 SW sw1/2(config)# vlan 10sw1(config-valn)# vlan 20sw1/2(config)# int f0/1sw1/2(config-if)# switchport mode accesssw1/2(config-if)# switchport access vlan 10sw1/2(config)# int f0/2sw1/2(config-if)# switchport mode accesssw1/2(config-if)# switchport access vlan 20sw1/2(config)# int f0/3sw1/2(config-if)# switchport mode trunk## 혹시나 만약에 특정 VLAN만 트렁크를 통해 전달하고 싶을 때, ..
[On-premise] L3 스위치 / VLAN, Trunk, NAT
·
Network/Network[On-Premise]
설명: 여러개의 VLAN을 설정하고 DHCP, NAT 설정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외부 통신까지 해주는 네트워크를 구성해볼 것이다. 역할: L3 스위치 포트 설정# L2 스위치 작업 - SW1 / SW2 sw1(config)#int f0/1sw1(config-if)#switch mode accesssw1(config-if)#switch access vlan 10sw1(config)#int f02sw1(config-if)#switch mode accesssw1(config-if)#switch access vlan 20sw1(config)#int f0/3sw1(config-if)#switchport mode trunksw1(config-if)#int f0/4sw1(config-if)#switchport m..
[Network / SW] VLAN 실습
·
Network/Network [L2, L3]
# VLA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VLAN이 필요하다.  VLAN은 네트워크를 연결해준다(맞긴하다.) 하지만 VLAN은 default로 VLAN이 1로 활성화 되어 있는데 이 VLAN number를 바꿔주면 확장과 분류를 동시에 할 수 있다. # VLAN 만드는 법# 1sw# conf tsw(config)# vlan 10sw(config-vlan)# vlan 20 # 2SW(config-if)#int f0/1SW(config-if)#switchport mode accessSW(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10% Access VLAN does not exist. Creating vlan 10SW(config-if)#int f0/2SW(config-if)#switch..
[Network / SW] VLAN
·
Network/Network [L2, L3]
⭐️ Table of ContentsTech 1. VLANTech 2. VLAN이 필요한 이유 이더넷 허브는 이더넷 네트워크에서 여러 대의 컴퓨터, 네트워크 장비를 연결하는 장치이다. 같은 허브에 연결된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를 모두 상호 간에 통신할 수 있게 된다. 단점 자신의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컴퓨터의 MAC 주소를 저장하고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패킷의 출발지와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는다. 쉽게 말하면 목적지에 대한 정보가 없으니 모든 포트에 패킷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컴퓨터가 여러대가 연결되어 있다면 속도가 느려지고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스위치가 나왔다. 자신 포트에 연결된 MAC Address를 저장/관리하기 때문에 패킷의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에 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