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 클라우드 컴퓨팅 유형
·
Cloud(AWS)
laaS, SaaS, PaaS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세 가지 주요 모델이다. 인프라,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레벨을 나타낸다. # 인프라인프라는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가장 기본적인 레벨이다. 가상화된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하드웨어 인프라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인프라를 구매, 관리, 유지보수 비용 절감, 필요한 인프라를 쉽게 확장 가능하다. # 플랫폼플랫폼은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배포를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환경을 제공한다. 애플리케이 개발에 필요한 환경을 구축할 수 있고, 개발 및 배포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특정 목적을 위해 설계된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은 SaaS 모델로 제공된다...
[On-Premise] 게이트웨이 이중화
·
Network/Network[On-Premise]
Router 1 설정 - NAT 설정 및 HSRP 설정R1(config)# int f0/0R1(config-if)# ip add 10.100.102.214 255.255.255.0R1(config-if)# ip nat outsideR1(config-if)# no shR1(config)# int f0/1R1(config-if)# ip add 192.168.100.100 255.255.255.0R1(config-if)# ip nat insideR1(config-if)# standby 10 ip 192.168.100.1R1(config-if)# standby 10 pri 200R1(config-if)# standby 10 preemptR1(config-if)# standby 10 track f0/0 101 N..
[Linux] DNS 서버 설정
·
OS/Linux
Off-Premise 실무에 들어가서 DNS 설정만 잘하면 욕은 안 먹는다고 들었다. 욕을 안 들어 먹기 위해. DNS 서버 설정이 익숙해질 정도로 연습 또 연습이다. 이번 실습은 이전 실습에서 HTTP 서버를 한 개를 만들었는데 2대의 HTTP 서버를 만들어야 한다. 그럼 DNS 서버에 두 개의 서버를 설정해줘야 한다. 오프프레미스 실습을 해보겠다. 그림을 보면 총 5개의 작업을 수행해주면 된다. 라우터 설정 (생략 : 저는 ospf 프로토콜로 라우팅 해줬다.)window 클라이언트 설정 (ip 설정)DNS 서버 설정HTTP 서버 설정 (211.175.185.1)HTTP 서버 설정 (126.255.255.1)1. window 클라이언트 설정 - 파란색 박스윈도우는 클라이언트 역할만 하기 때문에 IP 설..
[On-premise] STP / RSTP -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
Network/Network[On-Premise]
# On- premise 실습 이더넷 프레임이 장비들에서 빙빙 도는 현상을 Looping(루핑)이라고 한다. 이 Looping을 방지시켜주는 것이 STP 프로토콜이다. 지금 오른쪽 사진을 보면 Looping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오늘 온프레미스 실습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을 해볼 것이다.  이번 작업은 패킷 트레이서를 통해서 STP 프로토콜 테이블을 보면서 진행을 해볼 것이다.1. 패킷 트레이서지금 보면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가 불필요하게 같은 데이터가 계속해서 반복되고 있다. 이더넷 특성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다른 호스트들은 통신이 안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STP를 사용해볼 것이다.  2. 패킷 트레이서 루핑 현상 개선 결과     참고 자료https://white-..
[Linux] DNS 설정
·
OS/Linux
# DNS 서버 구성# DNS 서버 구성 절차1. 리눅스 패키기 설치 - yum -y install bind caching-nameserver- named -y : bind 버전 확인 2. DNS 서버 전역 설정- vi /etc/named.caching-nameserver.conf 3. 존 정보 설정- vi /etc/named.rfc1912.zoneszone "x.com" IN {  type master;  file "x.com.zone";} 4. 존 파일 생성 및 설정- cd /var/named- cp localdomain.zone x.com.zone- vi /var/named/x.com.zonewww IN A 192.168.10.2 5. named 서비스 시작- service named restart..
[Off-Pre | Linux] DHCP 마무리
·
OS/Linux
# [Off-Pre || Linux] DHCP server & client 구성  이전 포스팅에서 DHCP server를 설정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주소를 뿌려주는(DHCP 역할) 실습을 해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DHCP를 마무리를 해보겠다.  이전 포스팅과 달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 우분투, 로키를 다 사용하여 DHCP를 구성해보겠다. 추가적으로 빨간 네모박스로 되어 있는 것은 인터넷을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구름 모양의 네트워크를 받았다. DHCP 서버를 설정할 때 먼저 dhcp 클라이언트로 구름 네트워크 주소를 받아와서 dhcp-server를 설치해주고 나면 구름은 더 이상 필요 없기 때문에 스위치에서 포트 연결을 끊어준다. 즉, dhcp-server를 설치받고 나면 해제해주면된다. 이후 다시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