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ff-Pre | Linux] DHCP 마무리
·
OS/Linux
# [Off-Pre || Linux] DHCP server & client 구성  이전 포스팅에서 DHCP server를 설정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주소를 뿌려주는(DHCP 역할) 실습을 해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DHCP를 마무리를 해보겠다.  이전 포스팅과 달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 우분투, 로키를 다 사용하여 DHCP를 구성해보겠다. 추가적으로 빨간 네모박스로 되어 있는 것은 인터넷을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구름 모양의 네트워크를 받았다. DHCP 서버를 설정할 때 먼저 dhcp 클라이언트로 구름 네트워크 주소를 받아와서 dhcp-server를 설치해주고 나면 구름은 더 이상 필요 없기 때문에 스위치에서 포트 연결을 끊어준다. 즉, dhcp-server를 설치받고 나면 해제해주면된다. 이후 다시 d..
[Jenkins/Github] ssh-keygen 생성으로 ssh 접속하기
·
OS/Jenkins
#  SSH-keygen SSH를 통한 서버 접속 시 다양한 인증 방법으로 접속이 가능한데, 간단하게 사용하는 방법은 패스워드를 통한 접속을 하는 것이다. But 보안에 취약하고 주기적으로 변경해야하는 단점이 있다.(폐쇄망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더 취약) ssh-keygen은 ssh 접속을 위한 인증 키를 관리 및 변환한다. key 생성시 public key 와 private key가 생성이 되는데 이는 한쌍으로 동작한다. private key 와 public key를 가지고 있는 클라이언트에서 public key를 접속할 서버로 전달하고 서버는 이를 암호화해서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면, 클라이언트는 private key로 복호화하여 인증한다. 즉, 두 개의 key 중 하나는 누구나 가질 수 있는 키이고..
[참고] DHCP server에서 지정 Client IP 예약 설정 방법
·
OS/Linux
[Jenkins] Jenkins 설치 - 1(Ubuntu)
·
OS/Jenkins
이번 포스팅에서는 Jenkins를 설치를 해볼 것이다. 1. Jenkins VM 만들기2. VM 실행 후 설정 과정 3. Mobaxterm 설정먼저, SSH로 세션을 만들어준다. IP : 192.168.56.200으로 설정을 해줬으니 이 주소로 만들어 준다.  이후 계정을 로그인 한 후 몇가지 설정을 해준다.  # Dhcp 설정 후 저장ubuntu@jenkins:~$ vi /etc/netplan/00-installer-config.yaml  # 결과1. ip 주소 확인 및 ping 8.8.8.8 네트워크 통신 확인하기 2. dhcp에서 제공받은 ip로 mobaxterm 들어가기  4. 업데이트 실행ubuntu@jenkins:~$ sudo apt update -y && sudo apt upgrade -y
[Linux] eve - DHCP 설정
·
OS/Linux
#DHCP Server 설정# rpm -qa | grep dhcp# rpm -ql dhcp# yum -y remove dhcp*# yum -y install dhcp # yum -y install dhcp-devel# yum -y install dhcp dhcp-debvel# cd /usr/share/doc/dhcp*# cp dhcpd .conf.sample /etc/dhcpd.conf# vi /etc/dhcpd.conf # service dhcpd restart# ifconfig eth0# cat /var/lib/dhcpd/dhcpd.leases# tail -f /var/lib/dhcpd/dhcpd.leases 해당 명령어로 DHCP 서버에 필요한 패..
[Linux] 캐싱 DNS Server 구축
·
OS/Linux
#캐시 네임 서버 - 사용자들의 질의를 받아  DNS 정보를 조회하여 응답해주는 네임서버 > 캐시 DNS 서버 구축 1. 서비스에 필요한 패키지 찾기 -bind, bind-utils 2. 패키지 버전 확인 3. 패키지 설치 [root@localhost name]# yum install -y bind bind-utils4. 설정 및 확인(시작을 해야 가능한 경우도 존재함)[root@localhost name]#vi /etc/named.conf5. 서비스 시작(#systemctl  restart) [root@localhost name]#systemctl restart named6. 서비스 확인(#systemctl status) [root@localhost name]#systemctl status nam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