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폴트 라우팅 실습
디폴트 라우팅(Default Routing)
목적지 경로가 라우팅 테이블에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을 떄, 트래픽을 기본 경로(default route)로 전달하는 방식
특징
- 목적지 경로가 명시되지 않는 경우에만 사용
- 주로 작은 네트워크나 하나의 외부 네트워크 (ISP)에 연결된 네트워크에서 사용됨
장점
- 설정이 간단하고, 네트워크 관리가 수월하다.
- 모든 트래픽이 특정 경로르 통해 이동하도록 해서, 다양한 경로를 수동으로 설정할 필요가 없음.
실습 들어가기 전, ISP가 무엇이고, 어떤 역할을 하는지 간단하게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ISP
ISP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를 의미함.
회사에게 인터넷 연결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대표적인 예: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실습 : 라우터를 설정하여 ISP로부터 인터넷을 받아 여러 장치에 연결해주는 시뮬레이션.회사[Router 1 ~ 4]
ISP [Router 5]
- 4개의 라우터가 인터넷을 받는 회사에 위치해 있다면, 하나의 ISP로부터 인터넷을 제공받고 있는 역할
- ISP는 각 회사에 인터넷을 공급하고, 각 회사의 라우터는 그 인터넷을 내부 네트워크로 배포하는 역할
Router 1 설정
- Router 1 인터페이스 설정
Router>en
Router#conf t
Router(config)#int s0/0/0
Router(config-if)#ip add 192.168.45.1 255.255.255.0
Router(config-if)#no sh
Router(config-if)#exit
>> 디폴트 경로 설정
>> 0.0.0.0의 대역은 192.168.45.254로 보내라는 말.
Router(config)#ip route 0.0.0.0 0.0.0.0 192.168.45.254
Router#show ip route
C 192.168.45.0/24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0/0
S* 0.0.0.0/0 [1/0] via 192.168.45.254
S* 0.0.0.0/0 [1/0] via 192.168.15.254 (*디폴트 경로)
디폴트 경로 우선순위 : 모든 경로들 중에서 제일 마지막
Router 2 설정
- Router 2 인터페이스 설정
Router>en
Router#conf t
Router(config)#int s0/0/0
Router(config-if)#ip add 192.168.15.1 255.255.255.0
Router(config-if)#no sh
>> 디폴트 경로 설정
Router(config)#ip route 0.0.0.0 0.0.0.0 192.168.15.254
Router#show ip route
C 192.168.15.0/24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0/0
S* 0.0.0.0/0 [1/0] via 192.168.15.254
Router 3 설정
- Router 3 인터페이스 설정
Router>en
Router#conf t
Router(config)#int s0/0/0
Router(config-if)#ip add 192.168.25.1 255.255.255.0
Router(config-if)#no sh
>> 디폴트 경로 설정
Router(config)#ip route 0.0.0.0 0.0.0.0 192.168.25.254
Router#show ip route
C 192.168.25.0/24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0/0
S* 0.0.0.0/0 [1/0] via 192.168.25.254
Router 4 설정
- Router 4 인터페이스 설정
Router>en
Router#conf t
Router(config)#int s0/0/0
Router(config-if)#ip add 192.168.35.1 255.255.255.0
Router(config-if)#no sh
>> 디폴트 경로 설정
Router(config)#ip route 0.0.0.0 0.0.0.0 192.168.35.254
Router#show ip route
C 192.168.35.0/24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0/0
S* 0.0.0.0/0 [1/0] via 192.168.35.254
Router 5 설정
- Router 5 인터페이스 설정
Router>en
Router#conf t
Router(config)#int s0/0/0
Router(config-if)#ip add 192.168.45.254 255.255.255.0
Router(config-if)#int s0/0/1
Router(config-if)#ip add 192.168.15.254 255.255.255.0
Router(config-if)#int s0/1/0
Router(config-if)#ip add 192.168.25.254 255.255.255.0
Router(config)#int s0/1/1
Router(config-if)#ip add 192.168.35.254 255.255.255.0
Router#show ip route
C 192.168.15.0/24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0/1
C 192.168.25.0/24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1/0
C 192.168.35.0/24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1/1
C 192.168.45.0/24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0/0
결과
각 라우터에서 인터넷을 공급 받을 회사들은 디폴트 라우팅으로 ISP의 인터넷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중간에 있는 라우터가 ISP로부터 인터넷을 받아, 그 인터넷을 회사나 조직에 제공하는 중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사실 이건 중앙 라우터(ISP)를 기준으로 각 라우터를 연결하여 간단하게 ISP 구조를 만들어 보았다. 구글링을 해본결과 ISP와 인터넷 구조를 보았는 연결된 네트워크가 정말 많았다.
여기서 궁금했던 건
- ISP는 어떻게 상호 연결이 된 것인가?
어.... 찾아보니,,, 방법이 다양했다.
- 각각이 노드들이 상대 노드와 모두 연결시키는 방법
- 각 지역 ISP들을 관리하는 하나의 전역 ISP
- 여러개의 전역 ISP 존재할 때 연결하는 중간다리가 존재해야 다른 나라 간에도 통신이 가능하다.
- 대표적으로 넷플릭스나, 마이크로소프트? 이럴 때는 인터넷 교환지점(internet exchange point)라고 하는 특수한 통신장치를 만들어서 사용하여 통신장치를 샛길로 사용해주고, 라우터들과 함께 연결시켜주면 전체적인 인터넷 연결도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이렇게 사실 ISP의 구조를 간단하게 알아보았다..
아직 네트워크를 깊게 공부하지 않아서 그런지 많이 궁금해진다. 정말 많은 네트워크를 어떻게 관리하고, 어떻게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지, 단순히 네트워크를 구현하는게 아닌 효율적으로 구조화 시킨다는 게 정말 재밌고, 흥미로운 것 같다..
조금 더 조금 더 해보자
'Network > Network[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키 체인(Key-chain) (0) | 2024.09.19 |
---|---|
[Network]동적 라우팅(Dynamic Routing) (0) | 2024.09.19 |
[Network]플로팅 스태틱(Floating Static Routing) (3) | 2024.09.13 |
[Network] - OSI 7계층과 IP 주소 체계.vol2 (0) | 2024.09.04 |
[Network] OSI 7계층과 IP 주소 체계 (0) | 2024.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