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로팅 스태틱
정의 보다는 이렇게 이해하는 게 더 좋을 것 같아 이렇게 이해했습니다.
라우터 간 연결 회선을 하나만 쓰다가 회선에 장애가 발생하면 어떻게 될까요?
실제 환경이라면 순간 통신이 끊겨서 업무에 상당한 차질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무엇이든 이중화를 시켜야 합니다.
사실 네트워크 실습을 하면서 이중화의 중요성을 많이 깨달았습니다. 왜냐하면 네트워크가 항상 통신이 잘 된다는 보장이 없으니까요!
주로 플로팅 스태틱은 주 경로에 문제가 발생 했을 때만 활성화가 되며, 백업 경로 역할을 합니다.
플로팅 스태틱
열정입니다,,
S 192.168.24.0/24
- [1/0] via 192.168.12.254
- [1/0] via 192.168.13.254
S 192.168.34.0/24
- [1/0] via 192.168.12.254
- [1/0] via 192.168.13.254
S 192.168.45.0/24
- [1/0] via 192.168.12.254
- [1/0] via 192.168.13.254
24. 34, 45 네트워크에 이중경로가 설정되어 있다.
현재 설정된 경로는 192.168.24.0/24 네트워크로 가는 두 가지 경로를 가지고 있다.
- 192.168.12.254
- 192.168.13.254
같은 [1/0]의 행정적 거리(AD)와 메트릭(metric)을 가지고 있어, 두 경로가 동등하게 취급되고 로드 밸런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행정적 거리 설정
- ip route [목적지 네트워크 id][목적지 서브넷마스크][나가는 방향 인터페이스 or 상대방 ip] [디스턴스]
= r1(config)#ip route 192.168.24.0 255.255.255.0 192.168.13.254 3
명령을 통해 192.168.13.254 경로에 대한 행정적 거리를 3으로 설정했습니다.
이렇게 하면 기본적으로 192.168.12.254 경로가 더 우선시되고, 192.168.13.254는 예비 경로로 설정됩니다.
192.168.13.254 는 주 경로인 192.168.12.254 경로가 사용 불가능해지거 끊어졌을 때 해당 경로가 대체 경로로 사용이 된다는 뜻입니다. 주 경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동안에는 예비 경로는 사용되지 않지만, 문제가 발생하면 라우터는 자동으로 백업 경로로 자동으로 트래픽을 전환시키게 됩니다. 이렇게 설정함으로써 192.168.12.254 경로가 사용되다가 장애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192.168.13.254로 트래픽을 우회할 수 있게 됩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의 가용성과 안정성이 향상됩니다.
한쪽 경로가 끊어졌을 때 백업 경로가 어떻게 동작 과정
- 현재 설정:기본 경로: 192.168.12.254로 가는 경로가 우선적으로 사용
- 백업 경로
- 192.168.13.254로 가는 경로가 설정 행정적 거리가 3으로 더 높기 때문에 기본 경로가 끊어지기 전까지는 사용되지 않음.
- 기본 경로가 끊어질 경우
- 192.168.12.254 경로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연결이 끊어짐
- 라우터는 이 경로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고 인식
- 라우팅 테이블에서 기본 경로가 삭제, 라우터는 다른 경로를 찾음
- 이때 백업 경로인 192.168.13.254로 트래픽이 자동으로 전환됩니다.
- 이 경로는 미리 설정된 대로 행정적 거리 3을 가지고 있다.
- 기본 경로가 끊어진 상태에서는 더 이상 대체 경로가 없기 때문에 즉시 활성화된다.
장점
- 네트워크 가용성을 유지
- 기본 경로가 행정적 거리 1로 더 낮기 때문에, 트래픽은 복구된 기본 경로로 다시 전송됨.
- 백업 경로는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높이고, 장애 발생 시 자동으로 트래픽을 우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Network > Network[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키 체인(Key-chain) (0) | 2024.09.19 |
---|---|
[Network]동적 라우팅(Dynamic Routing) (0) | 2024.09.19 |
[Network] 디폴트 라우팅(Default Routing) (1) | 2024.09.13 |
[Network] - OSI 7계층과 IP 주소 체계.vol2 (0) | 2024.09.04 |
[Network] OSI 7계층과 IP 주소 체계 (0) | 2024.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