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able of Contents
- Tech 1. 동적 라우팅
- Tech 2. 동적 라우팅의 장점 단점 // 실습
- Tech 3. Rip version 1 vs version 2
- Tech 4. Key chain
- Tech 5. Key chain 실습
Tech 1.
동적 라우팅
라우터들이 routing protocol에 의해 정의된 규칙에 따라서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고 독집적으로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방식이다.
Tech 2.
장단점
장점 : 다운 돼버린 링크나 새로 발견된 라우팅 정보를 라우터 간 서로 알려줄 수 있다.
단점 : 동적 라우팅은 많은 양의 리소스와 시스템 할당을 요구할 수 있다.
IGP (Interior Gateway Protocol)
하나의 기관이나 조직에서 운영하는 네트워크를 뜻함. 내부 네트워크의 라우터들 간에 경로 정보를 교환하고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1.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거리를 기반으로 경로를 선택하는 가장 오래된 라우팅 프로토콜 중 하나이다.
(Rip는 홉 카운트를 사용하여 경로를 선택함 15개)
2.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내 모든 라우터가 동일한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를 가지고 경로를 계산함.
OSPF는 빠른 수렴성과 다양한 네트워크 크기에 맞는 확장성을 제공함
3. EIGRP(Enhanced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Cisco에서 개발한 프로토콜 RIP, OSPF의 장점을 결합한 형태이다. 거리 벡터와 링크 상태 프로토콜의 장점을 모두 활용하여 빠르고 효율적인 라우팅을 제공함.
이번시간에는 RIP에 대해서 좀 알아보겠습니다.
Step 1 : 라우터 간 경로 정보 교환
>> R1
>> 인터페이스 주소 할당
Router>en
Router#conf t
Router(config)#hostname r1
r1(config)#int f0/0
r1(config-if)#ip add 192.168.10.1 255.255.255.0
r1(config-if)#no sh
exit
route rip
network 192.168.10.0(network [네트워크 주소])
>> R2
Router>en
Router#conf t
Router(config)#hostname r2
r1(config)#int f0/0
r1(config-if)#ip add 192.168.10.254 255.255.255.0
r1(config-if)#int f0/1
r1(config-if)#ip add 192.168.20.1 255.255.255.0
r1(config-if)#no shut
exit
router rip
network 192.168.0.0
network 192,168.20.0
>> R3
Router>en
Router#conf t
Router(config)#hostname r3
r1(config)#int f0/1
r1(config-if)#ip add 192.168.20.254 255.255.255.0
r1(config-if)#int f1/0
r1(config-if)#ip add 192.168.30.1 255.255.255.0
r1(config-if)#no shut
exit
router rip
network 192.168.20.0
network 192,168.30.0
>> R4
>> 인터페이스 주소 할당
Router>en
Router#conf t
Router(config)#hostname r1
r1(config)#int f1/0
r1(config-if)#ip add 192.168.30.254 255.255.255.0
r1(config-if)#no shut
exit
router rip
network 192.168.30.0
끝이다.. 너무 쉽다...
여기서 나는 RIP 라우팅을 했었는데, 기본으로 버전 1이 실행된다고 한다.
여기서 알아야 할 건 RIP에서 version 1과 version 2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야 할 것 같다.
Tech 3. Versioin 1 vs Version 2
Version 1 : 클래스 풀(Classful) 라우팅
- 네트워크를 미리 정해진 클래스 A, B, C로 구분해 주는 방식이다. 각 클래스는 고정된 서브넷 마스크를 가지고 있고, 네트워크 크기와 사용 가능한 IP 주소 범위가 이미 정해져 있음. (서브넷 마스크 IP 주소 클래스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
Version 2: 클래스리스(Classless) 라우팅
- 클래스리스 라우팅은 IP 주소 클래스에 상관없이 서브넷 마스크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방식이다. 서브넷을 더 세분화하거나 네트워크를 더 효율적으로 나눌 수 있다. (필요한 만큼만 IP 주소 할당이 가능하다.)
실습 1.
설명
라우터 2와 라우터 3만 버전 2로 클래스리스 동적라우팅을 시도해 볼 것이다.
클래스리스 라우팅에서 주소가 바뀌는 여부는 서브넷 마스크에 따라 달라진다. 즉, 서브넷 마스크가 무엇인지에 따라 IP주소가 속한 네트워크 주소가 결정되고, 이를 바탕으로 주소를 변환하게 된다.
예시: 서브넷 마스크에 따른 네트워크 주소 계산
1.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24)
- IP 주소: 192.128.16.40
-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 서브넷 마스크는 /24로 **앞의 24비트(192.128.16)**가 네트워크 주소이고, 나머지 8비트(40)는 호스트 부분이다.
- 네트워크 주소는 192.128.16.0가 된다.
- 즉, 192.128.16.40은 192.128.16.0 네트워크에 속하는 하나의 호스트로 해석된다.
>>R2
Router>en
Router#conf t
Router(config)#hostname r2
r1(config)#int f0/0
r1(config-if)#ip add 192.168.10.254 255.255.255.0
r1(config)#int f0/1
r1(config-if)#ip add 192.168.20.1 255.255.255.0
r1(config-if)#no shut
exit
>> 버전 1 -> 버전 2
router rip
version 2
no-auto-summary
network 192.168.10.0
network 192.168.20.0
>> R3
Router>en
Router#conf t
Router(config)#hostname r3
r1(config)#int f0/1
r1(config-if)#ip add 192.168.20.254 255.255.255.0
r1(config-if)#int f1/0
r1(config-if)#ip add 192.168.30.1 255.255.255.0
r1(config-if)#no shut
exit
router rip
version 2
no-auto summary
network 192.168.20.0
network 192.168.30.0
오늘은 라우팅 프로토콜을 통해 네트워크의 다양한 요소를 깊이 있게 배울 수 있었다. 특히 클래스풀과 클래스리스 라우팅의 차이, RIP 프로토콜 버전 간의 차이, 그리고 Key-chain과 MD5 모드 같은 보안 관련 내용까지 학습을 통해 네트워크 보안과 효율적인 운영에 큰 도움이 된 것 같다. 이전보다 네트워크의 기본적인 라우팅 구조뿐만 아니라, 보안적인 요소를 함께 고려하는 시야를 가질 수 있는 시간이었고, 실제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장비를 통해 배운 내용을 활용해보고 싶다.
'Network > Network[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가상 인터페이스(Interface Loopback) (0) | 2024.09.20 |
---|---|
[Network] 키 체인(Key-chain) (0) | 2024.09.19 |
[Network]플로팅 스태틱(Floating Static Routing) (3) | 2024.09.13 |
[Network] 디폴트 라우팅(Default Routing) (1) | 2024.09.13 |
[Network] - OSI 7계층과 IP 주소 체계.vol2 (0) | 2024.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