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able of Contents
- Tech 1. Interface Loopback 이란
- Tech 2. Interface Loopback 연습
- Tech 3. Interface Loopback 실습
Tech 2. Interface Loopback 이란
Loopback interface는 논리적인 인터페이스이다. 논리적인 인터페이스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인터페이스라는 말이다.
실제로 존재하지도 않는 인터페이스를 왜 만들어서 사용하는가?
- 추가적인 네트워크를 생성하고자 할 때
- 라우팅 프로토콜 내의 라우터 ID로 사용하고자 할 때
- 네트워크 장비를 테스트 하고자 할 때
Tech 2. Interface Loopback 연습
R1(config)#int f0/0
R1(config-if)# ip add 10.1.1.1 255.255.255.255
Tip : Loopback 인터페이스는 논리적인 인터페이스라서 만드는 순간 활성화가 된다. (no sh 할 필요 없음.)
R1(config-if)#do sh ip route
네트워크가 연결이 아직 안된 것을 볼 수 있다.
R1(config-if)#exit
R1(config)#interface loopback 0
R1(config-if)#ip add 192.168.0.1 255.255.255.0
R1(config-if)#do sh ip route
interface loopback 0은 Loopback 0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명령어이고, ip 주소가 설정된 것을 볼 수 있다.
Loopback (0 ~ 3) 까지 Loopback 설정을 해주면 이렇게 IP주소가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ech 3. Interface Loopback 실습
R1(config)# int s0/0
R1(config-if)# ip address 211.10.1.1 255.255.255.0
R1(config)# interface loopback 0
R1(config-if)# ip address 192.168.0.1 255.255.255.0
R1(config)# interface loopback 1
R1(config-if)# ip address 192.168.1.1 255.255.255.0
R1(config)# interface loopback 2
R1(config-if)# ip address 192.168.2.1 255.255.255.0
R1(config)# interface loopback 3
R1(config-if)# ip address 192.168.3.1 255.255.255.0
R1(config)# int s0/0
R1(config-if)# ip address 211.10.1.254 255.255.255.0
R2(config)# interface loopback 0
R2(config-if)# ip address 172.16.0.1 255.255.255.0
R2(config)# interface loopback 1
R2(config-if)# ip address 172.16.1.1 255.255.255.0
R2(config)# interface loopback 2
R2(config-if)# ip address 172.16.2.1 255.255.255.0
R2(config)# interface loopback 3
R2(config-if)# ip address 172.16.3.1 255.255.255.0
여기서 내가 루프백 인터페이스를 내부적인 용도로만 사용하면 라우팅 프로토콜을 설정할 필요가 없다.
만약 R1 과 R2의 루프백 네트워크가 서로 통신해야 한다면 라우팅 프로토콜 설정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라우팅 프로토콜 설정
R1과 R2를 정적 라우팅을 통해 프로토콜을 설정하고자 한다.
R1
R1(config)# ip route 172.16.0.0 255.255.255.0 211.10.1.254
R2
R2(config)# ip route 192.168.0.0 255.255.255.0 211.10.1.1
이렇게 각 라우터를 정적으로 라우팅 해주면, 각 라우터에 상대방의 루프백 네트워크로 갈 수 있을 것이다.
오늘은 여기까지 하도록 하겠다. 바로 동적 라우팅을 해줄 수는 있지만 라우터 2개가 있는 데 따로 동적을 해주는 건 별로 일 것 같다고 느꼈다. 아직 OSPF를 제대로 배우지 동적라우팅을 통해 Loopback을 다시 공부해 보기로 할 것이다.
'Network > Network[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재분배(Redistribute) | default-information originate (0) | 2024.09.20 |
---|---|
[Network] 축약(summarization) (0) | 2024.09.20 |
[Network] 키 체인(Key-chain) (0) | 2024.09.19 |
[Network]동적 라우팅(Dynamic Routing) (0) | 2024.09.19 |
[Network]플로팅 스태틱(Floating Static Routing) (3) | 2024.09.13 |